
1. 서론 스포츠클라이밍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암벽을 등반하는 스포츠로서, 자연암벽 등반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제거하고 도심 속에서도 안전하게 도전, 자 유, 스릴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[1]. 스포츠클라이밍에 사용되는 인공암벽은 자연암벽과 유사하게 구성되는데, 다양한 경사도의 벽(wall) 위에 손으로 잡거나 발로 디딜 수 있는 홀드(hold)를 부착하여 여러 가지 등반 코스를 구성할 수 있다. 홀드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 난이도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남 녀 노소 누구나 개인별 수준에 맞는 등반을 할 수 있다 [1-4]. 경기로서의 스포츠클라이밍은 크게 볼더링(boulderingl), 스피드(speedl), 리드(lead)로 구분된다 [5]. 볼더링 종 목은 등반 높이가 높지 ..<

연구 대상과 절차 본 연구의 대상은 2020년 12월 0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최근 3개월 이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에 서 영화관람 경험이 있는 350명의 소비자들을 대상으 로 설문을 수행하였다. 연구 대상에게는 코로나19 등의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 설문 링크를 통한 간접 설문의 방법으로 설문지 배포를 수행하였으며, 배포는 서울 및 경기권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담당자들을 통 해 남녀노소 구애받지 않고 모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. 이 중, 불성실하거나 불충분한 응답 표본인 29부를 제외한 총 321부를 연구분석 자료에 활용하였 다연구대상자의 성별은 남성이 155명(48.3%), 여성이 166명(51.7%)으로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령대는 40대가 116명(36.1%..<

연구방법 1. 연구대상자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전국 34개 지역 노인보호 전 문기관에서 근무하는 종사자(상담원과 사회복지사)에 대한 전수조사로 자기 기입식(Self-administered) 설문 조사 방식으로 실시하였다. 연구대상자 모집을 위해 전 국 지역 노인보호 전문기관 관리자와 유선 상담을 통해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, 설문내용, 그리고 설문 방법을 설명하고 본 연구에 참여할 것에 동의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. 설문조사는 2020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실시되었으며, 총 306부를 배포하였고 이 중에서 16부를 제외한 290부를 최종 분석하였 다. 2. 연구모형 선행연구의 문헌검토를 통해 고찰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노인보호 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..<

본 연구의 목적은 허리뼈안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안정성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. 연구대상자는 뇌졸중 으로 진단받은 30명의 환자이며, 연구군 15명과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. 연구군은 30분씩 주 3회 허리뼈안정화 훈련을 시행하였고, 대조군은 30분씩 주 3회 일반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. 연구중재에 따른 종속변수 측정은 자유곡선자검사, 표면근전도검사, PASS, 10m걷기검사로 하였다.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. 첫째, 허리뼈정렬검사에서 연구군은 중재 전 후 허리뼈앞굽음각도와 몸통길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(p<