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  • 디지털 노마드

정보나라

노인상담원 이직률 연구

by 리뷰하는 김과장 2021. 11. 5.

연구방법

1. 연구대상자

 

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전국 34개 지역 노인보호 전 문기관에서 근무하는 종사자(상담원과 사회복지사)에 대한 전수조사로 자기 기입식(Self-administered) 설문 조사 방식으로 실시하였다. 연구대상자 모집을 위해 전 국 지역 노인보호 전문기관 관리자와 유선 상담을 통해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, 설문내용, 그리고 설문 방법을 설명하고 본 연구에 참여할 것에 동의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. 설문조사는 2020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실시되었으며, 총 306부를 배포하였고 이 중에서 16부를 제외한 290부를 최종 분석하였 다.

 

 

 

 

2. 연구모형

 

선행연구의 문헌검토를 통해 고찰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는 노인보호 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으로 설정하였다 [34][36][40]. 또한,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보호 전문기관의 업무환경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[그림 1]. 또한, 관련 기존 연 구들을 참고하여 성별, 연령, 직급, 경력을 통제 변수로 설정하였다 [12][38][39]. 그림 1. 연구모형

 

3. 연구가설

 

본 연구는 종속변수인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와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. 가설 1. 노인보호 전문기관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 인은 이직의도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. 가설 2. 업무환경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 계에 매개 역할을 할 것이다.

 

4. 측정도구

 

1) 종속변수: 이직의도

 

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이직의도(Turnover Intention)를 측정하기 위해 Becker(1992)의 이직의 도 측정 문항을 조영숙(1999)이 번역한 김의중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[50]. 본 척도는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, 척도는 5점 Likert척도로 응 답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. 본 척도를 사용한 선행연구[50]에서의 신뢰도는. 84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. 87로 나타났다.

 

2) 독립변수: 직무스트레스

 

상담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산업 안전공단에서 장세진 등(2005)이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(KOSS)의 단축형을 사용하였다. 본 도구는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, 본 척도는 리커트5점 Likert 척도로 응답 수준이 높을수록 대상자가 느끼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. 선행연구[51]에서의 신뢰도는. 84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. 86으로 조사되었다.

 

3) 매개변수: 업무환경

 

업무환경 측정을 위해 Jayaratne(1982)척도를 권선 덕(2000)이 번역한 것을 요인 분석을 통해 사용한 감소 정의 연구[52]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. 본 척도는 총 14개 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업무환경에 대 한 응답자의 인식이 좋은 것으로 측정된다. 선행연구 [53]의 신뢰도는. 74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. 80으로 조사되었다.

 

5. 분석방법

 

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.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. 본 연구의 구체 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. 첫째, 연구대상자들의 인 구 사회학적특성, 직무스트레스, 업무환경, 그리고 이직 의도 등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(Frequency Analysis)과 백분율, 평균 등의 값을 파악하기 위해 기 술통계 분석(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)을 사용하였다. 둘째, 연구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 요 변수들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T 검증(T-test)과 분산분석(One-Way Analysis of Variance:ANOVA)을 실시하였다. 셋째, 연구대상자의 이직의도 요인과의 관계를 산출하고 주요 변수들 간의 다중 공선 성(Multicollinearity)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(Correlation Analysis)을 실시하였다. 넷째,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raon과 Kenny [54]의 3단계 절차에 따라 다중회귀 분석 (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)을 실 시하였으며, 그리고 매개효과(Mediated Effect)의 유 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.

 

연구결과

 

1. 연구대상자의 특성

 

1) 인구사회학적특성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성별 구성은 여성 198명 (68.5%), 남성 91명(31.5%)으로 여성 상담원의 재직분 포가 높게 확인되었다. 노인보호 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연령을 분석한 결과 최소 22세부터 최대 66세까지의 분포를 보였다. 평균 연령은 35.46세(SD=9.46)였다. 20대 97명(33.6%), 30대 108명(37.4%), 40대 58명 (20.1%), 50대 이상 26명(9.0%)으로 20대와 30대가 차 지하는 비율이 71%로 나타났다.

 

직급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일반사회복지사가 169명 (58.7%)로 가장 많았으며 초급관리자(선임·대리·팀장) 61명(21.2%), 중급관리자(과장·부장·실장·국장) 33명 (11.5%), 그리고 최고관리자(관장) 25명(8.7%) 순으로 조사되었다. 연구대상자의 근무경력은 노인보호 전문기 관 근무경력만을 조사하였으며 최소 1개월부터 최대 16년 7개월로 분포하였다. 2년 미만이 66명(36.9%)으 로 가장 많았으며, 2년 이상 5년 미만 61명(34.1%), 5 년 이상 10년 미만 35명(19.6%), 그리고 10년 이상 17 명(9.5%) 순으로 나타났다.

 

2. 주요 변수들의 분석결과

1) 주요변수 특성

 

이직의도의 평균은 2.62점(SD=0.90)으로, 최소 1.0 점, 최대 5.00점으로 나타났다. 노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 관련 연구에서 조사되었던 2.56점(SD=0.91) 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 [34]. 직무스트레스 평균 은 2.29점(SD=0.34)점으로 최솟값 1.25점 최댓값 3.21점으로 나타났다. 이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영향요인 연구에서의 직 무스 트레스 평균인 2.30점(SD=0.51)으로 비슷한 수준임을 확 인하였다 [41]. 업무환경 평균은 3.43점(SD=0.45)으로 보통 수준보 다 높은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최소 2.07점, 최대 4.71 점의 분포로 조사되었다. 이는 이전 조사되었던 노인보 호전 문기관 종사자 업무환경 평균보다 조금 증가된 것 을 알 수 있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
댓글